다선일미(茶禪一味) - 법정스님 차의 고전인 육우의 다경에.. "울분을 삭이는 데는 술을 마시고, 혼미를 씻는데는 차를 마신다"고 지적 하였듯이 술이 시끄러운 집합을 위해 발명된 것이라면, 차는 한적한 모임을 위해 마련 된 것이다. 술은 아무데서나 아무하고도 마실 수 있지만 차는 그럴 수 없다. 무엇보다도 마시는 그 분위기와 .. 茶 道/茶道,,,칼럼및 글 자료 2010.07.12
蘭香千里 茶香萬里 蘭香千里 茶香萬里 지금의 사무실을 처음 열었을때의 일이다 사무실 개업할때 들어온 화분중에 난이 많았던 것은 그때의 유행처럼 화분은 난을 보내야 좀 유식하고 품위를 느끼게 되어 그러는 지 유독 난 화분이 많았다 벌써 4년이 되었으니 세월도 참으로 빠르다 큰 화분은 나누어 주고 더큰 것들은 .. 率土山房/愚石의,,,,山房 이야기 2010.07.12
녹나무-장뇌목 차 를 아십니까,,,? 녹나무-장뇌목 차 를 아십니까,,,? illustration Scientific classification Kingdom: Plantae (unranked): Angiosperms (unranked): Magnoliids Order: Laurales Family: Lauraceae Genus: Cinnamomum Species: C. camphora Binomial name Cinnamomum camphora(L.) Sieb. 樟樹(學名:Cinnamomum camphora)是樟科常綠大喬木,別名本樟、香樟、鳥樟、栳樟、 樟仔。原產中國.. 茶 道/茶道,,,칼럼및 글 자료 2010.07.12
연필과 작설차 오후에 제가 즐겨쓰는 필기구가 다 떨어져, 잠시 시내 문구점에 들렀었습니다. 다양한 필기구들이 문구코너에서 형형색색의 옷을 입고 '제발 나좀 데려가줘~~' 하고 애원하는 듯 빼곡히 진열되어 있었습니다. 몇 자루 골라쥐고, 주변을 돌다보니, 생각지도 않게 연필들이 눈에 띄어 몇 자루 꺼내 보았.. 率土山房/愚石의,,,,山房 이야기 2010.07.12
조용한 찻집 - 효월 일요일,,,, 온나라가 엉망진창,,,우울한 기분을 ,,,,,가만히 뉴스를 보다가 마눌에게 아들놈 옷 입히고 외출 준비 하여 달라고 하였다 우리집에서 근 1시간을 달려야 하는곳 제주의 몇 안되는 화전 마을인 솔도로 가보기로 마음먹었다 물론 집엔 여러가지의 차들이 아직 넉넉히 있다 다도 동호히의 어느 .. 率土山房/愚石의,,,,山房 이야기 2010.07.12
좋은 차(茶)와 좋은 차호(茶壺)--서초명호(瑞草名壺 *瑞草(서초): 상서로운 풀이란 뜻으로 중국에서는 차(茶)를 '서초'라고도 표현한다. 좋은 차는 명천(名泉)의 좋은 물로 우려야 함은 물론 더 나아가 좋은 차호(茶壺)에다 우려 마셔야 차의 향(香)과 맛(味)을 제대로 맛볼 수가 있는 법이다. 茶 道/茶道,,,茶詩 2010.07.12
鑿氷行 얼음 뜨는 자들을 위한 노래 鑿氷行 얼음 뜨는 자들을 위한 노래 김창협 金昌協 1651(효종 2) ~ 1708년(숙종 34) 季冬江漢氷始壯 늦겨울 한강에 얼음이 꽁꽁 어니 千人萬人出江上 사람들 우글우글 강가로 나왔네. 丁丁斧斤亂相착 꽝꽝 도끼로 얼음을 찍어 내니 隱隱下侵馮夷國 울리는 소리가 용궁까지 들리겠네. 착出層氷似雪山 찍어.. 茶 道/茶道,,,茶詩 2010.07.12
보이차의 실체 웹서핑하다 찾았습니다. 읽어 보셨을 수도 있지만, 혹 아직 읽어보지 않은 분이라면 한번쯤 읽어보시는 것도 좋겠단 생각에 옮겨 왔어요. =========================================================================== 보이차의 실체 .. 열풍처럼 불어 닥치고 있는 보이차 신드롬. 보이차가 만세(萬世)의 영약인양 선전하고 .. 茶 道/茶道,,,중국차 이야기 2010.07.12
차의 냉기를 제거하는 냉온탕법 차의 냉기를 제거하고 우려마시는 법 국립상주대학교 녹차는 찻잎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의 활성이 정지되게 법제하여 만든 차이다. 그래서 차의 성분이 차 중에서 찻잎과 가장 가깝고, 맛이 깊어 전세계에서 맛의 감각이 가장 뛰어난 우리 민족이 즐겨 찾는 차이다. 또한 향기도 은은하여 은근과 끈기..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0.07.12
"춘 경" 정자는 산 이름으로 내 마음 속에 있고 내 마음은 늘 산림을 떠나지 않고 있다네 느릿한 햇살에 차 연기 꾸불꾸불 피어 나고 조각조각 꽃 그림자 져서 지도를 그리네 잔 가득한 부의주를 청탁 불문 마시는데 발 밖의 제비는 가락에 맞추어 노래하네 봄나들이 걸음걸음 구름이 만든 자욱 따르고 개울 따.. 茶 道/茶道,,,茶詩 201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