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신 전 후기 ,,茶神傳 後記 다 신 전 후기 ,,茶神傳 後記 무자년 (1828년)비 오던 날 스승을 따라 지리산 칠불암의 아자방에 갔다가 이 책자를 등초 하여 내려 왔다 곧 바로 또다시 정서하여 책으로 묶으려고 했지만 몸에 병이 와서 끝을 맺지 못하였다 이때 수홍이란 사미승이 시자 방 에 머물며 차에 대해 알고자 하기에 정초를 시..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7
다 신 전 22 茶衛 다위 22 茶衛 다위,,,,,차의 위생 관리-다도의 요체 차를 만들때는 정성을 다하고 차를 저장 보관 할 시에는 잘 건조 시켜야 하며 차를 달여 우릴 때에는 청결해야 하며 정성ㅇ르 다해 만드는 정이 있었야 한다 습기가 들지 않도록 하는 조가 전부이다 다도의 전부는 마음을 담은 정성과 청결이이 한다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7
다 신 전 21 拭盞布 식자포 21 拭盞布 식자포,,,,,,잔 닦는 행주 차 마시기 전후에는 고운 세마포 로 찻잔을 씻어 잘 가셔 사용하는 것인데 그 밖에 천은 쉽게 더러워져 사용하는데 걸맞지 않다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7
다 신 전 20 茶盞 다잔 20 茶盞 다잔,,,,차 마시는 잔 차 빛깔을 감상할 마실 찻잔은 눈처럼 힌색이 제일이며 남색의 감도는 백색의 찻잔도 차 빛깔 감상에 좋으며 푸른색이 찻잔은 다탕 색을 손상치 않으니 버금 간다 검 정색 찻 잔은 영 아니올시다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6
다 신 전 19 茶具 다구 19 茶具 다구,,,,,차 끓이는 용구 상저옹 육우는 차를 달여 마실때 은으로 만든 다구를 사용 했는데 너무 사치스럽다 여겨 나중에는 자기 그릇으로 쓰게 되나 또한 잘 깨지고 불에 약해 오래 쓸수가 없으므로 또 다시 은 다구를 사용하였다 어리석은 나의 생각으로는 은이란 것은 잘 지어진 근사한 집에..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6
다 신 전 18 貯水 저수 18 貯水 저수,,,,물을 받아 저장 하는것 차를 달여 먹을 물은 독에 넣어 반드시 정원의 응달에 놓아야 되고 비단이나 헝겁을 덮으면 하늘의 별과 새벽이슬의 기운을 받게 하연서 곡 물의 신령스럼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신비로운 기운이 항상 보존되어 변질 되 않는다 가령 물독을 무거운 나무나 돌로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6
다 신 전 17 井水不宜茶 정수불의다 17 井水不宜茶 정수불의다,,,우물물은 찻물로 마땅치 않다 육우의 다경에 이르기를 산수는 차의 물로 제일 좋고 강물은 버금 가며 우물물이 가장 아래라 하였다 하나의 방안은 강이 멀고 높은 산 주변에 샘이 없으면 오직 봄에 내리는 매우를 많이 받아 두면 된다 그 물맛은 매우 달고 부드러워 때맞추..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6
다 신 전 16 品泉 품천 16 品泉 품천,,,,물의 등급및 품성 차는 물의 신이 되고 물은 차의 모체가 된다 유천이나 석지의 좋은 물이 아니면 차의 신령스러움이 나타 나지 않고 정다 또는 진다 가 아니면 그 수체를 엿볼수가 있는가 산꼭대기에서 솟아나는 자연 청수는 맑고 가벼우며 산 아래서 나는 샘물은 맑으면서도 무겁다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