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신 전 15 茶辯不可用 다변불가용 15 茶辯不可用 다변불가용,,,,,변질된 차는 마시지 않을것 차를 조다 하면 그 빛이 청취인데 차를 거두어 저장이 적법치 않으면 먼저 녹색으로 변하고 다시 누렇게 변하게 되며 세 번째는 흑색으로 네 번째는 하얗게 변하게 된다 그렇게 변질된 차를 달여 마시면 위장이 차게 되고 위장을 계속 냉하게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4
다 신 전 14 點染失眞 점염실진 14 點染失眞 점염실진 ,,오염되면 차의 참맛을 잃는다 차에는 스스로 참된 향과 참된 색이 있으며 참 맛이 있는데 한번 다른 물질과 오염되면 곧 차로써 침됌을 잃는다 차 끊이는 물에 조금이라도 소금기가 녹아 있거나 차에 다른 먹을 거리가 섞여 있을경우 찻 그릇에 과일즙이 묻어 있었도 모두다 차..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4
다 신 전 12 色 색 12 色 색,,,,차의 아름다운 색 차를 우렸을떄 맑고 푸른빛이 가장 으뜸인 물빛이 되고 다탕색은 남 백색이면 더할 나위 없고 황색 흙색 홍색과 어두운 빛깔이 차는 모두 품수에 들지 못한다 찻잔에 힌 눈 빛깔이 상품이요 비취의 빛깔은 붕품이요 누르스름한 물빛은 하품이다 깨끗한 샘물도 활화에 정성..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1
다 신 전 11 香 향 11 香 향,,,,차의 신비한 향 차에는 진향 난초 향이 잇고 맑은 향기와 겉과속이 한결같은 순향이라 하여 설지도 익지도 않는 것을 청향 이라 한다 불의 기운이 고루 퍼진 것을 난초의 향이라 하고 곡우전에 차를 딴 것은 다신이 갖쳐줘 싱그러우면 진향이라 한다 또한 냄새가 섞인 함향 루향 부향 문향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1
다 신 전 10 飮茶 음다 10 飮茶 음다,,,차 마시는 아취 차를 마실떄 사람의 수가 적어야 찻자리 분위가 진귀롭게 어울린다 차 마시는 객이 요란 하면 소란스럽고 시끄러우면 아취를 찾을수 없다 단 홀로 차를 마시면 신기가 나 신 (神)이라 하고 손님이 와 두 사람이 마시면 아취를 승 (勝)이라 한다 서너명은 취미로 멋있다 하..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1
다 신 전 9 投茶 투다 投茶 투다,,,,,,,차 넣기 차를 우리기 위해서는 다관에 넣기에도 순서에 따라 규범을 잃어서는 안된다 차를 다관에 먼저 넣고 물을 끊으면 넣는 것을 하투라 한다 끊는 물을 반만 붓고 차를 넣어 다시 끊인물을 반만 채우는 것을 중투 중간 넣기라 하고 먼저 끊인 찻물을 붓고 나서 차를 넣으면 상투 라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21
다 신 전 8 泡法 포법 다 신 전 8 泡法 포법,,,,차 우리기 찻물이 잘 끊여 졌ㄴ느가 살펴 곧바로 물을 들어 내고 먼저 다관 에 조금 따라 부어 냉기를 씻기 위해 깨끗이 가신다 그런후에 차잎을 넣는다 차의 분량이 적고 많음을 적당히 헤아려 차잎을 넣어 중정을 넘거나 적정을 잃어선 안된다 넣은 차의 분량이 많으면 쓰고 ..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18
다 신 전 7 湯用老嫩 탕용노눈 다 신 전 7 湯用老嫩 탕용노눈,,,찻물로 쓸 새물과 늙은 물 채군모는 끊인 탕을 눈을 쓰되 노는 쓰지 않았다 선고 다인들의 유래된 차 만드는 법다는 제조 하면서 반드시 연자에 찧고 맷돌질 하여 반드시 곱게 갈고 갈면 꼭 체질하니 차를 티끌처럼 날리는 가루가 된다 이것은 재료를 합해 용 모양 봉황..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18
다 신 전 6 湯辨 탕변 다 신 전 6 湯辨 탕변 끊인 찻물 분별하기 찻물 끊이기는 변과 15가지 작은 변 즉 분별법이 있다 첮째가 형태 분별기이며 둘째는 끊는 물소리로 본별하며 셋째를 탕관에서 나는 김 가르기 이다 형태는 속을 분별 하기 이며 들리는 소리는 겉을 분별 하기라 하며 예쁘게 나는 김을 지름 가리기라 한다 새.. 茶 道/茶道,,,茶 神 傳 2011.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