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꽃차 [花香茶] 의 종류 우리나라 꽃차 [花香茶] 의 종류 칡꽃차 대용차로서 음력 7-8월에 칡꽃을 따서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음건한 뒤 이를 무쇠솥에서 가볍게 덖어낸다. 연한 갈색 색감과 은은한 향취에 덧붙여 화려하지 않은 칡꽃의 마각은 맑고 소탈한 삶을 살아가는 산인을 연상시킨다. 국화차 옛날 공부하는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5
겨울 차의 매력 겨울 차의 매력 추울 때 따뜻하게 덥혀주고 우울할 때면 힘을 주는 "차(茶)는 당신이 추울 때 따뜻하게 해주고 더울 때는 시원하게 해줄 것이다. 우울할 때는 힘을 주고 기쁠 때는 차분하게 해줄 것이다." 1960년대 영국 휘그당 당수였던 윌리엄 글래드스턴이 남긴 이 짧은 명언은 '차'를 가장 완벽하게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
코막힘에 좋은차 한방에선 모든 장기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장기에도 신체 기관들이 연관 있다고 보고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혀와 혈관은 심장에 속하는 계통을 가지며 코는 대장, 기관지, 코, 피부와 함께 폐에 속한다. 좁게 보면 폐에 좋은 음식은 코에도 좋고, 넓게 보면 코에 좋은 음식은 몸에도 좋은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
마가목잎 수제 덖음차 마가목은 찬바람이 매섭게 몰아치는 높은 산꼭대기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이다. 높이는 8m 정도이나 고산지대에서는 2~3m 의 관목상으로 자란다. 마가목은 본래 춥고 메마른 땅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억센 생명력을 지닌 까닭에 높은 산꼭대기로 밀려난 비운..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
蓮연과 놀다..蓮根茶연근차 만들기 날씨도 추운데.. 따뜻하고 구수한 연근차 한잔.. 하십시다! 연근차 만들기 이렇게 만들었습니다 시흥 관곡지에서 .. 그날 캔 연을 사다가.. 수세미로 흐르는 물에 깨끗이 닦아서.. 껍질을 깔끔하게 벗기고.. 2~3미리 두께로 썰어서 뜨거운 물에 데치거나 찜솥에서 쪄서.. 바람이 잘 통하는 망에서 말리고....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0
국화차 만들기 저는 화차는 그리 즐기지는 않습니다만 제가 꽃을 좋아하고 제가 사는 지역에 가을이면 산, 들, 바다에 지천으로 보이는 것이 국화인지라 만들어 보고 먹어보게 되었나이다. 특히 여러 국화차가 있사오나 조그만 감국차는 그 모양과 맛, 향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것의 특징(작은 고추가 맵다)을 제..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12
칡차, 칡주만들기 네이버백과사전에서의 칡) 말린 칡뿌리로 만든 한국의 차(茶). 국적 : 한국 구분 : 음료 주재료:갈근(칡) 칡뿌리를 뭉근한 불에 천천히 달여서 마시거나 칡뿌리를 볶아 짓찧어 가루로 만들어 열탕에 타서 마시는데, 꿀을 타서 마시면 더 좋다. 한방에서는 갈근을 발한 ·해열 청량약으로 쓰는데, 녹말을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12
차 만들기 새벽녘부터 부산스럽게 움직인다.가지고 갈 참이랑 점심을 챙기고 나서야 비고소 차에 오른다.그리고 전부터 봐두었던 야생차밭으로 간다.도착한곳은 머물고있는곳과는 차로 한 40여분 떨어진 야산의 산중턱의 차 밭이다.이곳에 차를 심어놓은지도 벌써 30년이나 지났다고하는데... 여지껏 내가 봐왔..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12
일곱주발의 차노래 일곱주발의 차노래 첫잔을 드니 목과 입술이 부드러워 지고 둘째 잔을 드니 고독과 번민이 스러지네 세째 잔에 마른 창자에 담겨 있던 쓸데없는 지식이 흩어지며 넷째 잔에 이르니 내 평생에 불평 스러웠던 일들이 온몸의 털구멍을 통해 다 빠져 나간다 다섯째 잔으로 근육과 뼈가 맑아지니 여섯째 잔.. 茶 道/茶道,,,茶詩 2010.07.12
차생활로 지고한 예술세계 창조한 추사 김정희 추사 김정희 우리나라 전통차의 흐름을 거슬러 보면 추사 김정희(1786~1856)란 거인을 빼놓을 수 없다. 19세기 중엽 사양의 위기에 있던 우리의 전통차는 다산 정약용(1762~1856), 초의 장의순(1786~1866)과 함께 추사와 같은 차의 명인이 있어 그 실날과 같은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추사는 예술가로, 학자.. 茶 道/茶道,,,칼럼및 글 자료 201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