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꽃차 만들기 " 목련꽃차 만들기" & 중간쯤 핀 목련꽃을 하나하나 꽃잎을 딴다& 깨끗히 씻어 물기를 하나도 없이 한다.& 목련꽃 한번 설탕 한번 입이 넓은 유리병에 겹겹이 담는다. & 꽃잎이 뜨지 않도록 위에 설탕을 넉넉히 언고 꼭꼭 눌러 놓는다& 시원한 그늘에 둔다 & 보름 뒤에는 차로 마실수 있다"축농증과 코막..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2.19
연꽃차 만들기 마시기 내가 오직 연꽃을 사랑함은, 진흙 속에서 태어났지만 물들지 않고, 맑은 물에 씻겼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이 소통하고 밖이 곧으며, 덩굴지지 않고 가지가 없다. 향은 멀수록 맑고 우뚝히 깨끗하게 서 있어서 멀리서 바라볼 수는 있지만 함부로 가지고 놀 수는 없다 그래서 연은 꽃 가운데 군자라한..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2.19
아카시아 꽃차 만들기 ㅇ 고상한 향기, 상쾌한 뒷맛에 여러 잔 찾는다. 좋은 꿀을 만드는 만큼 꽃은 다목적 식용으로쓴다. 봄철에 새로 돋아나는 잎을 따서 나물로 무쳐 먹기도하고 꽃이 피면 잎과 섞어 튀기면 그 맛이 일품이다. 꽃은 줄기째 찹쌀 풀을 묻혀 말려 두면 일년 내내 튀김 요리를 즐길 수 있다. 야채 샐러드에 넣..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2.19
다선일미(茶禪一味) - 법정스님 차의 고전인 육우의 다경에.. "울분을 삭이는 데는 술을 마시고, 혼미를 씻는데는 차를 마신다"고 지적 하였듯이 술이 시끄러운 집합을 위해 발명된 것이라면, 차는 한적한 모임을 위해 마련 된 것이다. 술은 아무데서나 아무하고도 마실 수 있지만 차는 그럴 수 없다. 무엇보다도 마시는 그 분위기와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30
녹나무-장뇌목 차 를 아십니까,,,? 녹나무-장뇌목 차 를 아십니까,,,? illustration Scientific classification Kingdom: Plantae (unranked): Angiosperms (unranked): Magnoliids Order: Laurales Family: Lauraceae Genus: Cinnamomum Species: C. camphora Binomial name Cinnamomum camphora(L.) Sieb. 樟樹(學名:Cinnamomum camphora)是樟科常綠大喬木,別名本樟、香樟、鳥樟、栳樟、 樟仔。原產中國..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30
겨우살이 무엇인가? ≪ 겨우살이 무엇인가? ≫ 항암효과가 뛰어난 황금가지, 겨우살이 ▶ 관절염 근육통 안태 면역력증진 허약체질 당뇨병 고혈압 항암효과가 뛰어난 겨우살이 겨우살이는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뭇가지에 뿌리를 박아 양분을 흡수하며 살아가는 기생목(寄生木)이다. 주로 활엽수의..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5
우리나라 꽃차 [花香茶] 의 종류 우리나라 꽃차 [花香茶] 의 종류 칡꽃차 대용차로서 음력 7-8월에 칡꽃을 따서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음건한 뒤 이를 무쇠솥에서 가볍게 덖어낸다. 연한 갈색 색감과 은은한 향취에 덧붙여 화려하지 않은 칡꽃의 마각은 맑고 소탈한 삶을 살아가는 산인을 연상시킨다. 국화차 옛날 공부하는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5
겨울 차의 매력 겨울 차의 매력 추울 때 따뜻하게 덥혀주고 우울할 때면 힘을 주는 "차(茶)는 당신이 추울 때 따뜻하게 해주고 더울 때는 시원하게 해줄 것이다. 우울할 때는 힘을 주고 기쁠 때는 차분하게 해줄 것이다." 1960년대 영국 휘그당 당수였던 윌리엄 글래드스턴이 남긴 이 짧은 명언은 '차'를 가장 완벽하게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
코막힘에 좋은차 한방에선 모든 장기가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장기에도 신체 기관들이 연관 있다고 보고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혀와 혈관은 심장에 속하는 계통을 가지며 코는 대장, 기관지, 코, 피부와 함께 폐에 속한다. 좁게 보면 폐에 좋은 음식은 코에도 좋고, 넓게 보면 코에 좋은 음식은 몸에도 좋은 ..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
마가목잎 수제 덖음차 마가목은 찬바람이 매섭게 몰아치는 높은 산꼭대기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이다. 높이는 8m 정도이나 고산지대에서는 2~3m 의 관목상으로 자란다. 마가목은 본래 춥고 메마른 땅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억센 생명력을 지닌 까닭에 높은 산꼭대기로 밀려난 비운.. 茶 道/茶道,,,우리 茶 이야기 201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