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준비한 다완에 열탕을 조금 부어 넣어 따뜻하게 데웁니다.
자신이 마실것이던 손님이나 친구에게 대접하건간에 다완 자체가 도자기이므로 기본적으로는 차가운 성질이 있으므로 사전에 준비하기 위해 물에 담가두었다 하더라도 사용하기전에 다시 따뜻하게 만들어 차를 대접받는 사람이 양손으로 받쳐 들었을 때 차갑다는 느낌이 들지 않게한다는 마음씀씀이와 찻물이 빨리식지 않게 한다는 기능적인 예열의 의미 모두가 포함되어 있는 것입니다.
(2) 다완에 담아두었던 탕은 버리고 다완내외의 물기를 깨끗한 수건(차수건, 면이나 베 모두 좋다)으로 닦아냅니다.
부엌에서 싱크대 가까이 있다면 직접버려도 되지만 방안에서 할 경우에는 혼자서 마신다고 하더라도 산만할뿐만 아니라 손님에게 대접할 경우에는 아무래도 자리를 뜨는 것이 실례이므로 적당한 필요없는 물을 버리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일명 퇴수기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으며 그곳에 버리면 편리할 것입니다.
(3) 다완속에 차숟가락(차시)으로 말차를 1개반 내지 가벼운 2개정도를 넣고 차숟가락으로 다완밑바닥에 소복이 쌓여있는 차가루를 살짝 누르지 않고 헤치듯이 부스려 줍니다
양은 사람에 따라서 자주 마시다보면 자신의 입맛에 따라서 가감이 되며, 손님인 경우에는 양은 어느정도를 마시는지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의 전통적인 차시는 고대 중세에 걸쳐 주로 청동이나 철, 은 등으로 만든 금속제가 있었지만 요즈음에는 거의가 대나무로 만들어진 것들을 사용합니다. 티스푼을 사용할 경우에도 수북이 쌓아진 것이 아니라면 대체적으로 대나무로 만든 차시와 양적인 면에서는 별차이가 생기지 않지만 티스픈에 따라서는 한 개정도도 높이에 따라 많이 담겨질 수도 있으므로 가급적 처음에 마실때는 실험삼아 늘 일정한 모습으로 떠지도록 하여 자신의 입맛에 맞는 양을 발견해 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약간 펼쳐주는 것은 뜨거운 탕수가 들어갈 때 차가 펼쳐져 있을수록 나중에 다솔로 거품을 낼 때 덩어리가 지는 것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4) 열탕을 약 50미리정도(이것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 틀리겠지만)이면 작지도 많지도 않게 뜨거운 만큼 두세번에 나누어 마실 수 있는 양이 되고, 또 앞의 티스푼의 양과 가장 잘 조화되는 맛을 낼 수 있는 것인데 이것을 가능하면 다완위에 차가 놓여진 부분에 직접 마구 붓지 말고 조용하게 다완의 옆면을 이용하여 물을 부어주어 튀지 않도록 합니다.
(5) 다솔의 끝을 이용하여 똑바로 세워서 약간 두세번 차를 풀어주기 위해 가볍게 누르고 난후에 엄지와 검지 중지를 다솔 손잡이 부분을 잡고 다완은 왼손으로 굽위와 허리부분을 잡아 다완이 흔들리지 않게 하면서, 시끄럽거나 소리가 경망스럽게 들리지 않도록 필자의 생각으로는 약 15초에서 20초 정도의 시간으로 전후로 왕복시키면 좋을 듯합니다.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전후로만 왕복하면서 거품을 내는데 이때 맥도날드햄버거의 마크처럼 좁은 타원형 엠자를 그린다는 마음으로 전후로 빠르게 움직여 주면 거품이 잘납니다 이 거품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다화(茶花)라 부르는 애칭이 있는데 거품은 많지도 적지도 않은 것이 과학적으로도 가장 차의 성분을 잘 음용할수 있는 것이라 하므로 거품을 너무내어 거품으로만 마시게 될 정도로 거품에 신경은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후 다솔을 약간 끝부분을 이용하여 말차의 표면부분에서 가볍게 좌우로 천천히 흔들어 거품이 가라앉아 미세하게 되도록 해준후 다완의 내측 한면에서부터 가볍게 그 면을 닿으면서 한바퀴를 돌리고 가운데로 다솔을 가져가 직각으로 들어주면 다완좌우면에 혹여 거품내느라 들쑥날쑥하게 찻물이 튀었다하더라도 정리되어 깨끗하게 마무리됩니다.
(6) 손님에게 권하거나 자신이 마시며 차를 즐긴다.
이때 말차를 그다지 마셔보지 못해 풀냄새가 심하다(이것은 저에게 배우는 한 중년다우의 말차마신 첫 소감)라는 분도 계신만큼 초보자인 경우에는 달달한 양갱이나 사탕을 입안에 먹고난후 혀에 단맛이 남아있을 때 마셔보면 차의 고유한 맛을 더욱 확실히 알수 있습니다.
간혹 몇번에 나누어마셔야 되느냐? 한꺼번에 마셔도 되느냐? 등 많은 질문이 있지만,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즉 뜨겁기 때문에 바로 원샷에 마시기는 당초부터 불가능하므로 조금씩 입에 머금다보면 대체적으로 세 번정도에 나누면 마실양이됩니다. 그리고 특히 여자분들은 입술에 바르는 것이 있어 주변에 묻는 것을 신경쓰다보면 벌컥벌컥들이키지는 못하겠지요
'率土山房 > 愚石의,,,,山房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하다 몾해 적막 하다 (0) | 2010.09.02 |
---|---|
다기에 대해 알아 두셔야 할내용입니다 (0) | 2010.08.28 |
연꽃차와 황진이 (0) | 2010.08.14 |
차 한잔에 나를 맡기니 부러울 것 무엇이어라,,,? (0) | 2010.08.12 |
말차의효능 (0) | 201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