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신 전 3 辨茶 변다
다 신 전 3 辨茶 변다
차의 묘와 묘방은 차를 만들때다 차를 만들때는 정갈하게 정성을 다하여한다
차를 저장 할떄 때와 계절을 맞추어 올바르게 보관을 하는일
찻물 달이기를 할때 그 법을 잘 따라야 하며
차를 품평함에 있어 좋고 나쁨을 철 솥에서 차를 덖는 방법에 있으며
맑고 탁함은 불과물의 음양 관계에 있다
차를 덖을때 온도조절이 잘되면 향기는 맑아지고 솥이 차가우면 심묘함이
사라지게 된다
차를 덖을 때 솥의 화력이 세면 찻잎이 생으로 타서 설익고 연료가 부족하면
비취색 을 잃게 되며 지루하게 열을 다루면 너무 과숙한다
솥에서 서둘러 꺼내면 덖임이 안되어 설익는다
차가 너무 익으면 황색이 되고 설 익으면 검어져 차색이 안 좋다
제다의 모든 법을 순리대로 따르면 차의 맛은 달고 이를 거슬리면 나쁘게 된다
힌 점 띤 것은 무방하여 해 하지 않으나 잘 갖추어진 조건 속에서
타지 않게 만든 차가 최 우수 품이라 한다
'茶 道 > 茶道,,,茶 神 傳'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 신 전 6 湯辨 탕변 (0) | 2011.04.18 |
---|---|
다 신 전 5 火候 화후 (0) | 2011.04.18 |
다 신 전 4 裝茶 (0) | 2011.04.17 |
다 신 전 2 造 茶 (0) | 2011.04.17 |
다 신 전 1 採茶 (0) | 2011.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