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이야기/커피 이야기

커핑용어(커피문화원)

우석푸른바다 2011. 2. 2. 23:54

쓴맛(Bitter)

  혀 뒤쪽에서 감지되는 맛으로 커피의 키니네, 카페인 그리고 알칼로이드 성분에서 쓴맛을 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쓴맛을 좋아하지 않지만 커피에서는 쓴맛이 통상적으로 나타나야한다. 쓴맛이 없는 커피는 개성이 없고 뭉퉁한 느낌을 준다. 쓴맛은 주로 에스프레소를 위한 강한 로스팅이나 진한 추출에서 많이 다루게 되는데, 밸런스가 잘 잡힌 가운데 쓴맛이 포함된 진한 커피는 보통 스트롱하다. 풍부하다 등으로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쓴맛이 주도적으로 나타나면 밸런스문제가 있는 좋지 않은 커피이다.

 


블랜드(Bland)

  혀 가장자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부드럽고 온화함의 정도를 표현하는 커피 맛의 평가기준 용어로서 소프트와 뉴트럴(Neutral)의 범위에서 표현하기도 하고 또 일반적으로는 향이 희미한 커피를 지칭하기도 한다.

 


부케(Bouquet)

  냄새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표현용어의 총칭 즉 프래그란스(Flagrance), 아로마(Aroma), 뒤맛(Aftertaste)에서 맡을 수 있는 향 등을 포함한다.

 

 


브라이트(Bright)

  얼얼할 정도로 산미(Acidity)가 느껴지는 산도(Acidity)가 높은 커피 맛을 표현할 때 주로 표현하는 용어이다.

 


브라이니(Briny)

  추출된 커피를 다시 데웠을 때 드러나는 짠맛의 표현용어이다.

 


버터리(Buttery)

  오일(Oil)감이 풍부하게 나는 커피의 풍미를 표현한다.

 


캬라멜리(Caramelly)

  아로마(Aroma)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사탕이나 시럽을 연상하게 할 때 표현용어이다.

 


카보니(Cabony)

  아로마(Aroma)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타 맛을 연상시키는 향미의 표현. 주로 강배전(강한 로스팅)을 한 커피 빈으로 만든 커피에서 느낄 수 있다.

 

초콜레이티(Chocolaty)

뒷맛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달지 않은 다크 쵸컬릿이나 바닐라 맛을 연상하게 하는 향그러움을 표현하는 용어이다.

 


클린(Clean)

  커피 맛의 깔끔함의 정도를 보는 평가기준으로서 그린 빈의 생산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표현용어로는 브라이트(Bright), 클리어(Clear) 등을 들 수 있다.

 


클리어(Clear)

  커피를 마셨을 때 깔끔하게 넘어가는 느낌의 표현용어이다.

 


델리케이트(Delicate)

  완전히 잘 익은 커피체리로 마든 커피에서 맛볼 수 있는 풍미이다. 혀끝에서 살짝 감지할 수 있는 민감한 맛이다.

 


더티(Dirty)

  커피에서 깨끗하지 않은 냄새가 나거나 맛에서 케케묵은 신맛이나 곰팡이냄새가 날 때 표현하는 용어이다.

 


어씨(Earthy)

  글자그대로 흙의 느낌이 커피 맛에서 배어 나오는 경우에 쓰는 표현용어이다. 그린 빈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맛이다. 대체로 커피전문가들은 그린 빈 생산과정의 결함으로 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생산지의 이국적인 풍미로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도 한다.

 


엑조틱(Exotic)

  일반적이지 않은 맛을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커피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향미는 베리나 플로럴 등을 들 수 있다.

 


프래트(Flat)

  부케 즉 프래그란스(Fragrance), 아로마(Aroma), 뒷맛(Aftertaste) 모두에서 향이 느껴지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용어이다. 그린 빈의 생산과정에서 보다는 로스터의 잘못된 그린 빈의 보관상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플래이버(Flavour)

  아로마(Aroma)로 감지한 향이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을 표현하고자 할 때 쓰는 키워드이다.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많은 표현용어들이 플래이버(Flavour)의 카테고리에서 사용될 수 있다.

 


프래그란스(Fragrance)

  커피빈이나 가루를 코로 들여 마셔보아 맡게 되는 향기로서 프로럴, 스파이시(Spicy)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프루티(Fruity)

  아로마(Aroma)의 감각이며, 주로 시트러스나 베리종류의 과실 향을 연상할 수 있다.

 


그래시(Grassy)

  냄새와 맛에서 감지할 수 있는 풍미로 청정한 잔디밭을 연상할 수 있다.

 


하쉬(Harsh)

  맛의 결이 거칠게 느껴질 때 표현하는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