率土山房/愚石의,,,,山房 이야기

수 많은 계란,,,,

우석푸른바다 2018. 1. 18. 01:08


하루에 먹는 가장 중요한 식사의 주인공 '계란',

수십억 명의 요리사들과 셰프들은 계란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음식이라고 말하는데요.

뭐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전혀 의심의 여지가 없겠지요.

이번에는 계란의 모든 것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의 글을 통해 여러분이 계란 요리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영감을 얻기를 바랍니다.





Fairy(무정란)

젊은 암탉이 낳은 무정란입니다. 보통은 거친 껍질을 가지고 있죠.(마녀의 알, 바람 알, 방귀 알이라고도 부릅니다) 예전에는 이런 알이 나올 때마다, 사람들은 놀라곤 했습니다. 1600년대에는 이러한 무정란에 대해 '수탉의 알' 이라고도 불렀습니다. 그리고 바실리스크라고 하는 빛나는 괴물을 부화시킬 수 있을 거라고도 믿었다고 합니다.(특히 당신이 이 알을 두꺼비 아래에서 품는다면 말이죠)







Quail(메추리)

일반적인 달걀의 크기(1인치)에 비해 5분의 1 정도인 메추리알입니다. 시중에서 팔리는 알 중에 가장 작습니다. 완숙으로 삶는 데에는 3분, 반숙에는 2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일반 달걀보다 비싸지만 비타민 B, 철분, 아연 등 영양가가 높은 편입니다. 중국에서는 약용으로도 사용되며, 필리핀에서는 kwek kwek라는 길거리 음식으로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Chicken(닭)

가장 익숙한 계란은, 닭의 품종과 나이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크기 역시 달라집니다. 크기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며 peewee(1.25온스), small(1.5온스), medium(1.75온스), large(2온스), extra large(2.25온스), jumbo(2.5온스)로 나누어집니다.







Pheasant(꿩)

꿩 알은 보통의 계란보다 작지만, 메추리알보다는 큽니다. 껍질의 안쪽은 파란색이며,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이 즐겨 먹었습니다. 일반적인 계란보다 노른자가 더 크고, 노란색이 진합니다.







Duck(오리)

오리알은 노른자가 진하고 두꺼운 편입니다. 일반적인 계란보다 2배 이상 많은 단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머랭(크림 만들기)과 케이크를 만들 때 보통의 달걀보다 더 많이 쳐야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닭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도, 가끔씩은 오리알을 먹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오리알은 아시아에서 더욱 인기가 많습니다. 소금에 절여서 보존하기 때문이죠.(동남아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역자)







Turkey(칠면조)

일반 계란에 비해 1.5배 이상 큰 칠면조 알은, 함유되어 있는 콜레스테롤 수치도 4배 이상이라고 합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자신보다, 더 먼저 존재하고 있던 야생 칠면조에게서 반점이 박혀있는 알을 얻었습니다. 이후 16세기에 이르러, 유럽인들은 이 칠면조를 드디어 유럽으로 데리고 갑니다. 17세기의 요리책 작가는 칠면조 알에 대해 '건강에 좋은 것들보다 더 건강에 좋다'라고 말했습니다. 19세기 Delmonico(스테이크 식당)에서는 스테이크와 함께 칠면조 알로 만든 오믈렛을 제공하기도 했었는데요. 얼마 가지 못했다고 합니다. 일반 닭들이 1년에 평균 300개의 알을 낳는 반면, 칠면조들은 100여 개 정도밖에 낳지 않았기 때문이죠. (그때 당시, 칠면조 알은 개당 2~3불에 팔렸다고 합니다.)







Goose(거위)

거위 알은 오리알보다 크며, 가장 큰 계란(일반 닭 기준)에 비해 3배 정도 큽니다. 오리알과 마찬가지로 크고 진한 오렌지색 노른자가 특징이죠. 괜히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말이 나온 게 아닙니다. 참고로 거위는 1년에 40개 정도의 알을 거의 봄에 몰아서 낳습니다.







Emu(에뮤)

호주 토박이인 에뮤는 타조에 이어, 두 번째로 거대한 새입니다. 에뮤의 알은 에메랄드 색을 띠고 있으며. 2파운드(0.9kg)의 무게를 자랑합니다. 1개의 알이 일반 달걀 12개와 맞먹는 수준이죠. 흰자와 노른자의 비율은 1:1 정도라고 합니다.







Ostrich(타조)

지구 상에서 가장 큰 새며, 가장 큰 알을 낳습니다. 타조알 1개는 20개 이상의 일반 계란과 비슷하며, 껍질은 5~10배 이상 두껍습니다. 300파운드(약 150kg)가 넘는 아빠와 엄마들이 하루 종일 품고 있어도 말이죠. (참고로 타조알을 깨려면 쇠톱이나 파워 드릴을 쓰는 게 좋다고 합니다.)







Guillemot(바다오리)

북극해, 북태평양에서 발견되는 바다오리들은 원추형으로 된 청록색 알을 낳습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바다에서 보내며, 알을 낳기 위해 봄이 되면 해안가로 옵니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그 알을 낳기 위해 절벽을 내려간다고 하는데요. 바다오리알을 먹어본 미식가의 표현에 따르면, '아무 맛도 없다'라고 합니다. 육지의 새처럼 둥지에 알을 낳는 게 아니며, 바위에 그냥 알이 놓여있다고 합니다. 각각의 알에는 어미들이 알아볼 수 있는 표시가 있습니다. 원추형이기 때문에 건들면 굴러 떨어지는 대신, 빙빙 제자리에서 돈다고 합니다.







Tinamou(티나모우)

멕시코를 비롯한 남아메리카에 사는 티나모우는 날지 못하는 새입니다. 무지개 빛이 나는 알을 낳는 것이 특징인데요. 유난히 화려한 이유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암컷(다른) 티나모우의 시선을 끌어, 부화하게끔 하기 위해서 라고 합니다.(알의 부화에 있어, 쉐어를 하는 듯합니다)







Gull(갈매기)

갈매기의 알을 먹는 것은, 영국에서 유래되었습니다.(지금도 먹는다네요) 검은 머리 갈매기의 알은 껍질이 얼룩덜룩하며, 밝은 오렌지색의 노른자가 특징입니다. 알은 3~4주 정도의 봄 기간에만 수확할 수 있으며, 소금 습지대의 둥지에서 수작업으로 채취합니다. 개체수 보호를 위해 채취 과정은 굉장히 엄격하며, 둥지당 1개의 알만 수확이 허용됩니다.



-


평생을 살면서 먹게 될 달걀의 종류는 한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겠습니다.

그럼에도 한 번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아니면 지구상의 계란에 대해,

타조알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 직접 찾아볼 경우가 얼마나 있겠어요?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는 속담처럼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