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
|
|
|
분류 |
동 물 명 |
분 포 |
사는곳 |
먹는것 |
부화기간 |
산란기 |
특 징(성) |
까마 귀과 |
까 치 |
한국 등 |
야 산 |
곤충 씨앗등 |
16일 |
4∼6월 |
우리나라의 길조이며 인가근처에 서식하는 텃새임 |
어 치 |
한국 등 |
야 산 |
17일 |
5∼6월 |
텃새로 일명 산 까치라 부르기도 함 |
꿩
과 |
금 계 |
중국 남서부 |
야 산 |
곤충,
곡물,
풀씨,
과일등 |
23일 |
4∼6월 |
황금색과 진홍색의 아름다운색을 갖고 있으며 애완용으로도 사육 |
긴꼬리꿩 |
중국 |
야 산 |
26일 |
4∼6월 |
꿩과중에서 큰 종류에 속하며 꼬리의 깃이 아름답다. |
꿩 |
한국, 중국 |
야 산 |
26일 |
4∼6월 |
우리나라 야산에서 볼수 있는 텃새 |
당 닭 |
중국, 일본 |
가금동물 |
21일 |
년중 |
소형 닭으로 애완용으로도 사육 |
메 추 리 |
한국, 중국 |
초원, 평야 |
17일 |
5∼9월 |
육용 및 산란용으로 사육, 생후 45일이면 산란 함 |
바위자고 |
유럽 동남부 |
경 사 지 |
22일 |
5∼6월 |
대단히 민첩하고 예민하며 경계심이 하다. 숫컷은 호전적이다. |
백 한 |
중국남부 |
고산지대 |
25일 |
4∼6월 |
배는 흑색이고 등은 흰색으로 산란기에는 숫컷이 공격적 임 |
산 계 |
대 만 |
산림지대 |
25일 |
3∼6월 |
대만특유의 꿩으로 성질이 온순하나 때론 호전적이며 5가지 색을 띰 |
싸 움 닭 |
전 세 계 |
가금동물 |
21일 |
년중 |
싸움용 또는 육용으로 사육하며 다리와 목이 굵고 부리가 튼튼 함 |
오 골 계 (천연기념물 135호) |
한 국 |
가금동물 |
21일 |
년중 |
뼈까지 검은색 임. 육용으로 사육 |
은 계 |
중 국 |
야 산 (구릉지) |
23일 |
4∼6월 |
금계보다 크나 번식이 어려우며 꼬리는 백색에 검은띠가 있음 |
인도공작(백, 청) |
인 도, 동남아시아 |
산림지대 |
30일 |
5∼9월 |
이동성이 없으며 화려한 긴 꼬리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사육 |
재래종닭 |
한 국 |
가금동물 |
21일 |
년중 |
우리나라 고유의 닭으로써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토종닭 임 |
칠 면 조(백, 청) |
전 세 계 |
가금동물 |
29일 |
년중 |
북아메리카 인디언이 가금화 시켰으며 청, 백색의 개량종이 있음 |
황 금 계 |
아 시 아 |
야 산 (구릉지) |
23일 |
4∼6월 |
금계의 돌연변이로 황금계을 띠며 관상용으로 사육 |
호 로 새 |
아프리카 |
산림지대 |
26일 |
5∼6월 |
백색, 남색 등 많은 품종이 있으며 한 마리가 울면 전체가 따라 운다. |
두루 미과 |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203호) |
한국, 중국 |
평야지대 |
곤충, 어류, 곡물등 |
33일 |
4∼5월 |
목은 흰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이며 겨울철새 임 |
흑두루미 (천연기념물 228호) |
한국, 중국 |
평야지대 |
33일 |
4∼6월 |
몸은 흰회색, 목과 머리는 흰색, 부리위는 붉은색이며 겨울 철새임 |
뜸부기과 |
쇠 물 닭 |
온대 및 열대지방 |
하 천 가 |
갑각류, 곤충등 |
18일 |
5∼8월 |
주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여름철새 임 |
매과 |
황조롱이 (천연기념물 228호) |
전 세 계 |
해안지대 |
육식성 |
29일 |
4월경 |
겨울철새로써 머리는 회색, 가슴에는 갈색 반점이 있음 |
백 로 과 |
왜 가 리 |
아시아, 유럽 |
강변, 호수 |
어류, 곤충 |
28일 |
3∼5월 |
몸색은 회색으로 줄무늬가 있으며 머리뒷부분에 긴 댕기가 있음 |
해오라기 |
전 세 계 |
강변, 호수 |
28일 |
4∼6월 |
여름철새로 머리에 가늘고 긴 백색깃이 있고 어린새는 등에 흰얼룩무늬가 있음 |
비둘 기과 |
공작비둘기 (백, 흑) |
인도, 일본 |
평원 등 |
곡류, 야채 |
18일 |
년 중 |
비둘기를 개량한 것으로 꼬리깃이 공작처럼 펴지며 관상용으로 사육 |
수
리
과 |
검독수리 (천연기념물 243호) |
한국, 일본 |
산악지대 |
육식성 |
45일 |
3∼4월 |
한국전역에 사는 텃새로 독수리 보다는 작음. |
독 수 리 (천연기념물 243호) |
한국, 중국 |
산악지대 |
48일 |
2∼4월 |
한국전역에 사는 텃새로 수리중 최대 |
말똥가리 |
한국, 중국 |
산악지대 |
28일 |
4∼6월 |
겨울철새이나 지방에 따라서는 텃새이며 색상은 암갈색 임 |
흰꼬리수리 (천연기념물 243호) |
유럽, 아시아 |
해안지대 |
35일 |
4월경 |
겨울철새로써 털색은 갈색이며 꼬리는 흼 |
오
리
과 |
거 위 |
전 세 계 |
가금동물 |
수초,
어패류,
씨앗,
곡물등 |
38일 |
년 중 |
기원전부터 사육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육용이 가능하며 울음소리가 시끄러움 |
검은고니 |
남반구, 호주 |
호수, 하천 |
38일 |
9∼1월 |
암수 검은색으로 부리와 눈이 빨갛다. |
쇠 오 리 |
유럽, 아시아 중북부 |
호수, 하천 |
22일 |
5∼7월 |
겨울 철새로써 길이가 35cm정도로써 오리류중 가장 작음 |
원 앙 이 (천연기념물 327호) |
한국, 일본등 |
호수, 하천 |
28일 |
5∼7월 |
맑은물에 살며 텃새와 이동하는 새 2종류가 있으며 암수의 금술이 좋다. |
청둥오리 |
전 세 계 |
평야지대 |
28일 |
5∼7월 |
환경 적응력이 강하며 오리류중 가장 많은 무리를 형성하는 겨울 철새임 |
카나다기러기 |
북미지역 |
호수, 하천 |
27일 |
2∼6월 |
북방계와 남방계 2종류가 있으며 남방계가 북방계보다 큰 편임 |
(큰) 고니 (천연기념물 201호 ) |
아시아, 유럽 |
호수, 하천 |
42일 |
5∼6월 |
고니류중 가장 큰 종류이며 온몸이 하얀색이며 부리의 끝은 검다. |
올
빼
미
과 |
수리부엉이 (천연기념물 324호 ) |
한국, 중국등 |
산림지대 |
육식성 |
36일 |
12월경 |
한국전역에 살고 있는 텃새이며 낮에는 쉬고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
올 빼 미 (천연기념물 201호) |
한국, 중국등 |
산림지대 |
25일 |
3∼5월 |
야행성으로 텃새이며 둥근머리가 특징임 |
큰소쩍새 (천연기념물 201호) |
아시아 |
산림지대 |
25일 |
5∼6월 |
야행성이며 낮고 슬픈 소리로 우는 것이 특징임 |
앵
무
새
과 |
목단앵무 |
아프리카 |
산림지대 |
해바라기씨,
과일,
잣 등 |
21일 |
3∼5월 |
몸과 꼬리가 짧은 작은 앵무새로 색깔이 아름다움 |
염주앵무 |
인도, 미얀마 등 |
산림지대 |
28일 |
3월경 |
중형 앵무새로 온몸이 녹색이고 부리는 진한 홍색임 |
유리메커우 |
아르헨티나, 파나마 등 |
산림지대 |
28일 |
3월경 |
대형 앵무새로 긴꼬리와 거대한 부리를 가지고 있음 |
황관앵무 |
뉴기니아, 호주 등 |
산림지대 |
24일 |
8∼12월 |
백색의 머리에 길고 황색인 관모가 있으며 화가 나거나 불안하면 부채같이 펼침 |
찌르 레기 과 |
찌르레기 |
동북아시아 |
산림지대 |
곡류, 야채 |
18일 |
4∼5월 |
여름철새로써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고목에 집단으로 번식 |
참새 과 |
문 조 |
동남아시아 |
산림지대 |
곡류, 야채 |
18일 |
6∼8월 |
흰색과 재색이 있으며 사정에서 애완용으로 사육 |
타조 과 |
타 조 |
아프리카 |
초원지대 |
곡류, 야채 |
45일 |
6∼8월 |
현존하는 조류중 제일 크며 숫컷은 검은색, 암컷은 회색임 (시속 : 60km정도) |
황새 과 |
홍부리 황새 |
유럽, 아프리카 |
평야지대 |
어류, 개구리 |
33일 |
4∼5월 |
부리가 붉은색이며 유럽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등지에서 월동 함 |
|
|
가. 각종 조류의 부화일수 |
구분 |
닭 |
꿩 |
메추리 |
오리 |
칠면조 |
거위 |
호로조 |
타조 |
발육기 |
18 |
21 |
14 |
25 |
25 |
27 |
25 |
35 |
발생기 |
3 |
3 |
3 |
3 |
3 |
3 |
3 |
7 |
총일수 |
21 |
24 |
17 |
28 |
28 |
30 |
28 |
42 |
부화일수가 정확히 언제라써 있긴 하지만, 실제로 온,습도에 따라 빨라지거나 늦어질수 있습니다.
실제로1~3일정도 결과가 달라졌다는 카페글이 있음을 참고 하시면 좋습니다. |
|
|
나. 부화시 부화실의 온습도 및 부화기의 최적온습도 |
구분 |
부화실 |
부화기 |
비고 |
발육실 |
발생실 |
온도 |
24 ~ 30℃ |
100℉(37.7℃) |
99.0℉(37.2℃) |
병아리보관실온도: 30℃ 습도: 60% |
상대습도 |
50~80% |
55 ~70% 57%(습구온도 86℉) |
75 ~80% 76%(습구온도 92℉) |
대개 부화실습도를 50%정도로 하는경우가 많은데 (알콤 등 부화기 최초 조정온도) 그 이상으로 온도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아 기준점으로 보긴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처음 부화기에 입란 할 때부터 70%정도
맞춰서 부화를 유도 히시는 분도 있습니다. 여기서 어느게 정답이라 찾긴 어렵겠죠.
위 내용은 근접한 가장 적정하다고 보는 것을 도표한거로 이해 하시면 좋겠네요.
|
|
|
다. 종란보관시 권장 온습도 |
보관기간 |
온도 |
습도 |
비고 |
1 ~ 3일 4 ~ 7일 7 ~ 10일 10일 이상 |
20 ~ 25℃ 15 ~ 17℃ 14 ~ 16℃ 10 ~ 12℃ |
70 ~ 80% 75 ~ 80% 75% ~ 88%
|
|
종란 보관을 7일 이상이 될경우 부화율이 많이 떨어진다고 카페 글에 많습니다.
보관 온습도에 따라 그경우도 달라짐을 참고 하세요. |
|
|
|
|
라.부화장 내부(여기서 부터는 대량 사육이므로 관계되신 분들만 참고 하시면 좋겟습니다.) |
1) 부화사의 위치 |
부화사는 종계장과 멀리 떨어져 있어서 호흡기성 마이코플라즈마 병원균(Mycoplasma gallisepticum)과 전염성 관절막염 병원균(Mycoplasma synoviae)의 침입이 방지되어야 한다. 두 건물간의 거리는 50m 이상 떨어져 있고 독립적인 출입구를 갖는 것이 좋다.
부화장의 위치를 선정할 때에는 양계단지가 가깝고 종계장들이 중심위치에서 가까우며 인접한 곳에 양계장이 없어야 하고, 큰 도로가 가까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여 종란 또는 병아리의 수송이 능률적이어야 한다. |
|
2) 부화장의 구조 |
부화장은 기본적으로 종란하차장, 종란소독실, 종란저장실, 부화실, 발생실, 병아리 발생작업실, 장비 및 기구소독실, 발송실, 사무실, 탈의실, 세면장 등으로 설게되며 소규모의 부화장은 그림과 같이 설계할 수 있다. |
|
 |
부화장의 구조 및 작업흐름도 |
|
부화장은 특히 방역위생관리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여야 하며 외부인의 출입이 통제되어야 한다. 외부에서 부화실로 들어오는 사람은 반드시 입구 소독실에서 분무소독을 한 후 탈의실에서 소독된 옷으로 갈아입도록 한다. 종란을 반입할 경우도 사람의 출입구와는 별도로 설치된 입구에서 부화장의 관리인에 의해 소독실로 양도되고 이곳에서 훈증소독을 한 후 입란준비실로 운반한다. 발생된 병아리는 발생작업실에서 선별과 포장이 완료된 후 관리인에 의해 발송실로 운반되며 인수자가 부화사 내로 출입하는 것을 금지시켜야 한다. |
|
3) 부화사의 내부구조 |
부화사의 내부구조상 유념할 사항으로는 건축재는 단열성이 높고, 내화성이 강하며, 물청소와 소독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고, 특히 천장재로는 방습재를 부착한 내습성 재료를 사용하여 천장에 수분이 맺히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건물내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고 방습 등을 위한 환기장치가 필수적이며, 실내 밝기를 고려한 충분한 전기배선이 설치되어야 한다. 화재예방을 위한 화재경보기 및 소화장치도 아울러 고려함이 좋을 것이다.
각 작업실의 온도 및 습도는 종란보관실의 경우 18℃로 상대습도 75 ~ 80%가 바람직하고, 부화실의 경우 상대습도 70 ~ 75%, 실내온도 24℃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반면 발생 병아리의 보관실은 30℃ 이상의 실온과 6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 |
| |